반응형 경제-사회 일기67 2020.07.21 한국시장으로 리턴, 오히려 경제의 성장이 닫혔을때 , 주가의 상승은 시작된다(?) 우리나라 주가의 흐름이 재미 없던것은 많은 기업들이 활발하게 성장하며 수요가 없는 발행시장 안에서 상장과 유상증자에의한 과공급에 따른 결과 있었던 것 아닐까. 최근 공모주 상승, 개미들의 발행시장 진입 등의 현상은 위와같은 논리를 뒷받침 하듯, 코로나19를 비웃으며 우상향 하고 있다. 그리고 아직 멀었다. 우리나라 퇴직연금 적립금은 200조가 넘으며 계속 성장하고 있다. 주변에도 아직 DB형태의 퇴직금이 많은데 은퇴 후 저금리에따라 irp나 펀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시장에 들어오게될 것을 생각해야 된다. 2020. 7. 20. 코로나19가 지나간 자리는..!!!? 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007018911i[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7월4일' 코로나19 감염 불붙나[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7월4일' 코로나19 감염 불붙나, 김현석 기자, 국제www.hankyung.com김현석님의 월스트리트나우를 매일 챙겨보려 노력하고 있다.댓글에 희한하게도 기자를 조롱하거나 비방하는 글들이 보이나, 이는 자신의 모자람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된다. 무튼, 이번 글을 읽다가 코로나19의 폭풍 속에서 잠깐 잊고 있었던 중요한 시사점(?)이 생각났다. "코로나 19가 종식되면, 우리는 어떻게 되는가?" 나는 유쾌하지만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위의 글에도 나왔지만, 지금 미국 중앙은행 및 정부는 엄청난 양의 부양을 하고 있으며, 회사.. 2020. 7. 1. 금융위기와 채권 2007 - 2008 글로벌 금융위기 1. 개요 - 저금리 정책기조, 세계 경제 불균형 - 금융기관의 과도한 레버리지(총자산/총부채) - 고위험 고수익 파생상품시장의 급속한 확대 - 금융감독의 비효율성 및 대응능력 부족 등 - 미국에서 서프라임 모기지 부실 -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 베어스턴스, 리만브라더스, 메릴린치 등 3개사 파산, AIG는 파산 직전 구제 - 베어스턴스 : 대공황과 2차세계대전에서도 살아남았던 투자은행 => JP모건체이스 인수 - 리먼 브라더스 : 185년 전통의 미국 4위 투자은행 => 파산 - 메릴린치 : 세계 3위 투자은행, 세계최대 증권사 => BOA 인수 - AIG : 세계 최대 보험사 => 미 정부로부터 1825억 달러 구제금융 - 미국 국채수익률(5년) 하락이 커짐 = 국.. 2020. 6. 24. 차익거래(Arbitrage)와 레버리지, 파생상품 등 -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시장에서의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내는 거래 - 주식, 채권, 외한, 선물과 현물 - 균형상태와 불균형 상태 - 균형가격 vs 시장가격 - 균형가격 : 자산에서 기대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일물일가의 법칙 : 동일한 자산에 대하여 동일한 가격이 형성되어야 하는 법칙 - 균형가격 > 시장가격 : 매수 - 균형가격 공매도 :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산을 빌려 미래 일정시점에 되돌려 주기로 계약하고 매도하는 전략 -> 자산을 100에 공매도 하였다면? -> 자산이 120이 될 경우, 손실 발생 -> 자산이 80이 될 경우, 이익 발생 시장의 합리성 - 동일한 자산 - A 시장의 시장가격 100, B 시장의 가격 90, 인경우 -> A시장 매도, B .. 2020. 6. 22. LTCM파산과 채권 LTCM(Long-Term Capital Management) 1)개요 - 가장 완벽했다는 펀드의 종말 - 천재들의 실패 - 1994년 설립 - 4년간 400%이상 수익률 - 1998년 파산 2)인물 (1) 존 메리웨더(John Meiwether) - 1980년대 살리먼 브라더스 채권 팀장 - 하버드, MIT 등 금융 천재 박사 드림 팀 구성 - 퀀트(Quant) 도입 :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계량분석기법 - 1988년 부회장 승진, 메리웨더 팀 수익 = 회사 전체 수익 - 1991년 treasury bond scandal 사건으로 존 메리웨더 사직 - 1993년 LTCM 설립, 세계 최대 헤지 펀드 (12.5억 달러) *헤지 번드(Hedge Fund) :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 등 규제를 받지 않고 단기.. 2020. 6. 22. 옵션내재채권 - 최초의 옵션내재채권은 1863년 채권과 면화를 연계한 금융상품으로 국가의 이름으로 발행된 첫 파생금융상품 1)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 CB) - 채권자의 청구에 의하여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발행기업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전환권)가 부여된 채권 - 전환권이 없는 일반채권에 비하여 낮은 이자율로 발행하여 이자부담을 감소하려는 목적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됨으로 인해 간접적인 증자 효과 - 전환사채 투자시의 검토사항 (1) 신용위험 : 투자한 회사의 신용등급 및 부도시의 회수율 점검 (2) 채권가치 : 전환권은 주가가 하락하면 가치가 없어지기 떄문에 주가가 상승하지 않을 경우의 투자수익륭이 중요 (3) 주식가치 : 주식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 CB투자자에게도 .. 2020. 6. 19. 물가와 채권 - 물가 :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상품의 가격을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등을 고려,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 - 물가지수 :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해서 지수의 형태로 나타낸 것 - 물가의 결정요인 : 1) 국민경제의 총수요와 총공급 - 총수요 증가 또는 총공급 감소 -> 물가 상승 압력, 총수요 감소 - 총수요 감소 공급 증가 -> 물가 하락압력 - 총수요에 영향을 주는 원인 : 통화량과 가계소득 - 총공급에 영향을 주는 원인 : 임금 및 국제원자재 가격 등 - 총수요와 총공급에 영향을 주는 원인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 통화량 증가 -> 상품 수요 증가, 이자율 하락 -> 물가상승 2) 가계소득 - 소득의 증가 -> 상품 및 서비스 수요 증가 -.. 2020. 6. 19. 채권가격 1. 채권과 이자율의 관계 - 채권가격과 이자율은 역의 관계 - 채권가격은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이기 때문 -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은 하락 -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 - ex ) 1년 후에 11,000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 -> 이자율(할인율)이 10%일경우 : 11,000원 / (1+0.1)^1 = 10,000원(현재 채권가격)2 -> 이자율(할인율)이 20%일경우 : 11,000원 / (1+0.2)^1 = 9,167원(현재 채권가격) 2. 채권가격정리(민감도 = 리스크) - 말키엘의 정리 - 만기가 길 수록 채권가격의 민감도는 증가 - 만기가 길어짐에 따라 이자율변동에 대한 채권가격의 민감도는 증가하는데 속도는 감소한다 - 액면이자율이 작을수록 채권가격의 민감도는 증가한다 - 채권수.. 2020. 6. 17. 금융시장과 신용 1. 금융시장 1) 금융시장의 기능 - 정의 : 자금의 수요와 공급 연결(중개) - 자금의 유통가격을 탄력적으로 결정(이자율 등) - 유동성을 높여 거래 활성화 - 위험 분산 -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의 시간 및 비용 절감 2) 금융시장의 분류ㅔ9 (1) 중개기관의 유무를 통한 분류 - 간접금융시장 : 자금수요자와 공급자가 금융기관(은행)을 통해서 거래 - 직접금융시장 : 자금수요자와 공급자가 금융기관(채권)을 통해서 거래 (2) 금융상품의 만기 - 단기금융시장 : 1년 이내 - 장기금융시장 : 채권, 주식 (3) 금융상품의 유통단계 - 발행시장 : 회사채, 주식등이 투자자에게 처음으로 발행(매출) 모기지대출채권을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변환시키는 등의 형태 - 수표, 어음 등 다양한 지급결제수단 제공 4... 2020. 6. 17.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