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융시장
1) 금융시장의 기능
- 정의 : 자금의 수요와 공급 연결(중개)
- 자금의 유통가격을 탄력적으로 결정(이자율 등)
- 유동성을 높여 거래 활성화
- 위험 분산
- 금융거래에 필요한 정보의 시간 및 비용 절감
2) 금융시장의 분류ㅔ9
(1) 중개기관의 유무를 통한 분류
- 간접금융시장 : 자금수요자와 공급자가 금융기관(은행)을 통해서 거래
- 직접금융시장 : 자금수요자와 공급자가 금융기관(채권)을 통해서 거래
(2) 금융상품의 만기
- 단기금융시장 : 1년 이내
- 장기금융시장 : 채권, 주식
(3) 금융상품의 유통단계
- 발행시장 : 회사채, 주식등이 투자자에게 처음으로 발행(매출) <-최초거래
- 유통시장 : 발행시장 이후 투자자간 매매
(4) 금융상품의 종류
- 주식시장 : 상환의무가 없는
- 채무시장 : 상환의무가 있는(채권 : CB, BW)
(5) 거래시장
- 장내시장 : 구체적인 장소(거래소) 거래
- 장외시장 : 상호개별접촉에 의한 거래
(6) 거주성과 거래통화
- 국내금융시장 :
- 국제금융시장 : 거래통화가 외국통화이거나 거래당사자 중 하나가 외국거주자이인 경우
(7) 채권의 관점
- 국내, 국제 가능
- 직접금융시장, 장기금융시장, 유통시장 or 발행시장(공모) 둘 다 됨, 채무시장, 장내 or 장외 둘 다 가능
3. 금융기관의 기능
- 자금의 수요와 공급을 연결/중개해주는 역활
- 다양한 금융정보 제공
- 규모의 경제를 통해 거래비용 절감
- 질적(Pooling)하여 규모 및 기간등의 조건이 다른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제공하는 자산의 변환기능
=> 모기지대출채권을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변환시키는 등의 형태
- 수표, 어음 등 다양한 지급결제수단 제공
4. 금융관의 분류
1) 은행
- 일반은행 :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
- 특수은행 :
2) 비은행
-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우체국예금, 종합금융회사
- 여신전문 금융회사 : 리스, 카드, 할부금융, 신기술사업금융 회사 등
- 금융투자회사 : 증권회사(투자매매, 중계업), 선물회사, 자산운용회사, 투자자문, 신탁회사
- 보험회사 : 생명, 손해, 우체국, 공제, 한국무역공사 등
* 금융상품이란?
- 일부손실가능성 존재 => 금융투자상품 => 원본이상 추가 손실가능성 존재 => 파생상품 : 장내(상장o), 장외(상장x)
=> 원본이상 추가 손실가능성 미존재 => 증권 : 채무증권, 지분증권, 수익증권, 투자계약증권, 파생결합증권, 증권예탁증권
- 손실가능성 미존재 => 비금융투자상품
5. 신용평가
1) 간접금융에 의한 채무
- 기업과 대출금융기관의 쌍방거래이므로 해당 금융기관에 독자적 신용평가
2) 직접금융에 의한 채무
- 채권 등은 불특정다수에게 자유롭게 매매되므로 투자자보호차원에서 전문적인 신용평가회사로부터 신용평가등급을 받는 것이 원칙
3) 신용평가회사의 신용평가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 간접금융에의한 채무, 주식, 국채, 제3의 기관으로부터 보증을 받아 발행하는 채권, 사모방식의 채권발행(50인 미만)
4) 신용평가회사의 신용평가가 요구되는 경우
- 무보증 공모방식의 채권 : 회사채, 금융채, 자산유동화증권 => 2개이상의 신용평가회사로부터 신용평가등급을 득해서 공시해야 발행가능
- CP(기업어음)와 전단기사채 : 무보증으로 발행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2개이상의 신용평가회사로부터 신용평가등급을 득해서 공시
6. 신용등급
1) 회사채 등급
- 투자등급 : AAA ~ BBB-
- 투기등급 : BB+ ~ D(현재 채무불이행 단계)
2) CP 및 전자단기사채 등급
- 투자등급 : A1 ~ A3
- 투기등급 : B+ ~ D(현재 채무불이행 단계)
'경제-사회 일기 > 채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가격 (0) | 2020.06.17 |
---|---|
채권의 종류와 위험 (0) | 2020.06.15 |
채권의 역사 - 미국 남북전쟁 (5) | 2020.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