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바오로와 리디아 서재127

2022.04.21_9천 돌파! 2월까지만해도 8천이었는데 두달만에 9천만을 통과 했다. 기분이 많이 좋지만, 한편으로 너무 신경쓰이는건 각종 악재들이 산발해 있기 때문 아닐까? 지금 가장 주의해야할 것은 '경기 침체' 인데, 이번 침체는 버블이 꺼지면서 생기는 현상이 아니라 고의적으로 만들어지는 '효과'일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다면, '폭락'은 없다. 많은 경제 유트버들이 과거 그래프를 보이면서 채권금리 역전을 예시로 금융위기가 왔다고 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세계의 경제석학들이 멍청이도 아니고 그런걸 모를까? 아래 일구형의 영상은 참 도움이 많이 될만하다. https://youtu.be/DbwbdWwhyvI https://youtu.be/WPgy1FG7iAo 이런 시장에서 오히려 리벨런싱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 2022. 4. 21.
[제1과목 데이터의 이해] 문제모음3 1. 빅데이터의 활용 테크닉 중 보기는 무엇에 해당되는가 우유구매자가 기저귀도 같이 구매해야하는가 또는 기저귀 구매자가 맥주도 같이 구매하는가를 알아본다. 1)유전알고리즘 2)감정분석 3)연관 규칙 학습 4)회귀분석 2. 데이터 사이언스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통계학이 정형화된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지만 데이터 사이언스는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2) 데이터 마이닝은 분석의 포괄적 개념이고 데이터 사이언스는 분석에 초점이 있다. 3) 데이터 사이언스가 기존 통계학과 다른 점은 총체적 접근법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4) 데이터 사이언스란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학문이다. 3.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추출하여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고.. 2022. 4. 19.
[제1과목 데이터의 이해] 문제모음 2 1.데이터에 관한 구조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메타데이터 2)데이터 사전 3)데이터 웨어하우스 4)데이터베이스 2. 다음 데이터의 유형은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로 분류가 된다. 아래 보기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 1)풍향 2)습도 3)기상특보 4)시간당 강수량 3. 다음 중 암묵지와 형식지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1)추상화 2)공통화 3)표출화 4)내면화 4. DIKW 파라미드 계층구조에서 지식에 해당되는 것은? 1)A 마트 100원, B마트는 200원 연필을 판매한다. 2)A마트의 연필 가격이 더 싸다. 3)상대적으로 저렴한 A마트에서 연필을 사야겠다. 4)A 마트의 다른 상품들도 B마트보다 쌀 것이라고 판단한다. 5. 빅데이터가 만들어 내는 본.. 2022. 4. 17.
에너지? 복잡도가 너무 높다. 개인적으로 코로나 이전까지 인류는 수직적 관계의 무역시장에 기대어 성장해 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세계정세가 바뀌고 있다. 모든 나라가 2년간의 고뇌를 통해 '수직적', '의존적' 형태의 무역이 약이아닌 독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즉, 코로나 이전의 수직적 관계에서 생겨난 정형파 적인 흐름에 기대어 각국은 자신들의 성장을 바래왔는데, 코로나 이후 생기는 단절과 독자적인 정치, 경제 활동으로 단순해 보이던 그 세계가 사실 뒤엉킬 때로 엉켜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고 이 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는 건 아무도 없다는 슬픈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UN,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수직적 관계의 우위를 보이려는 다양한 나라와 집단들이 서로 실타래의 끝을 잡고 풀어 내겠다고 선언하지만, 다 풀린 실의 끝에.. 2022. 4. 16.
[제1과목 데이터의 이해] 문제모음 1 1. DIKW 의 계층적 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지혜 2)정보 3)데이터 4)아이디어 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는 것은? 1)2000년대 기업 디비구축의 화두는 CRM과 SCM 등장이다 2)2000년대 금융부분에도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시화 됐다. 3)기업내부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비해 사회기반 데이터베이스는 교육 또는 의료부문에서는 활용하지 않는다. 4)'실시간 기업'은 기업의 비지니스 프로세스를 투명하고 민첩하게 유지하여 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 속도를 최대휴ㅘ하여 지연시가능ㄹ 업애는 정보화 전략이다. 3. 빅데이터의 활용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것은? 1)"사용자가 어떤 특성을.. 2022. 4. 16.
DVN 500%!!! '존버' 승리인가. 20년도 중반부터 모은 석유 주식들이 포텐이 터지는 중이다. 근데..좋아해야 하는거 맞나? 최근에 21개를 팔아서 QYLD를 집중 매수 했다. 양도소득세 회피를 위한 부분 매도 인데...계속올라가니 배가 좀 아프다. 그리고 계속 샀다 팔았다 하면서 재미를 보고있는 ..석유&가스 섹터내에서 나라별 지역별 자산별 포지션별로 나눠서 분산하고 있다. 연초부터 주식에 돈을 넣고 있지 않다보니, 배당으로만 잔액을 늘려가는게 좀 힘들다. 그래도 QYLD, MAIN, SRET 등 월 배당을 통해 REI 를 좀 더 모아볼 생각이다. 2022. 4. 12.
참고 링크 https://www.rbcrichardsonbarr.com/IndustryResearch/News.aspx?a=news&ticker=XOM,CVX,RDS.A,BP,COP,EOG,PXD,OXY,HES,DVN,FANG,CLR,CTRA,MRO,OVV,APA,EQT,CHK,AR,RRC,MGY,SWN,PDCE,MTDR,MUR,DEN,SM,CRC,CPG,CNX,WLL,ERF,CRK,OAS,CPE,CDEV,BTEGF,GPOR,BCEI,XOG,KOS,PVAC,DECPF,VEI,HPK,NOG,TALO,MCF,ESTE,LPI,BRY,WTI,REPX,SD,REI,SBOW,GDP,EPM,BATL,AMPY,AXAS,TPL,VNOM,BSM,MNRL,KRP,DMLP,FLMN,PHX,ANTERO,RBEXTRA&i=&start=0&.. 2022. 2. 22.
2022.02.04_8천돌파! 2021년 6천이었는데, 어느세 총 자산이 8천을 돌파했다. 연초부터 국내는 좋지 않았다. 외국인의 매도와 기관의 장난질로 국내 총 자산은 +4% 정도 밖에 안된다. 그러나... 해외수익률이 어마무시하다. 해외자산의 70프로는 석유&가스 포지션이라 그런듯 하다. 이번년안에 1억을 돌파 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겠다. 올해 투자방향은 단순한데, PER, PBR 중심의 투자 전략이다. 1) 미국은 너무 비싸 - 미국의 주식들은 역대급 고평가라 생각한다. 때문에 나오는 배당금을 통한 에너지쪽(SHEL, OVV, CVE)추매를 제외한 나머지는 투자하지 않을 예정이다. 2) 앞으로는 한국 아닌가! - 한국은 지정학적, 정치적, 지주(오너십)리스크 등의 이슈로 상당히 '저평가' 돼 있다 - 우리나라 상위권 회사들은 .. 2022. 2. 4.
데본에너지! 사루타! 드디어! 처음으로 400프로 수익률을 보게 됐다. 또한, 갖고 있는 석유 주식들도 200~50%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로써 가장 뿌듯 한 순간 아닐까? 나의 추리가 맞아 떨어지고 있다. 2022.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