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계적 변화 : 사람들이 행동이나 현재의 계획을 조금씩 바꾸어 적응하는 것
항공사 사례
- 한 비행기의 평균 좌석 비용이 500달러일 경우, 항공사는 비행기 좌석에 대한 한계적 편익과 비용을 판단 할 수 있음
- 만약 비행기에 빈자리가 생길 경우, 300달러를 받고라도 손님을 태우는 것이 이득
- 항공사에서 한계비용은 고작 해야 기내식 정도이기 때문다이아몬드 이야기와 스미스의 역설
- 1950년 남아공의 광산마을 '컬리난' 프리미어 광산에서 한 다이아몬드 원석이 발견
- 세계에서 가장 큰 이 다이아몬드(3106.75캐럿)에 광산 소유주의 이름을 따서 '컬리난'이라는 이름이 붙음
- 이 다이아몬드는 1907년 66세 생일을 맞은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에게 선물로 바쳐지는데 이후 9개로 쪼개져 가공
- 그 중 가장 큰 것이 530.4 캐럿의 컬리난1 이며, 컬리난2는 317.4캐럿으로 영국 왕실의 권위와 '과거의 영광'제국주의를 상징
- 나머지 7개는 엘리자베스 2세가 할머니 메리 여왕으로부터 물려 받아 소유하고 있다.
- 또 영국 소더비는 홍콩에서 열린 한 경매에서 5억 5300만 홍콩달러(약 800억 원)에 타원 모양의 59.6 캐럿 짜리 핑크스타가 낙찰
- 이처럼 다이아 몬드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재화 중 가장 귀하며 고가에 거래 됨
- 그러나 공업용을 제외한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느 실용적 가치가 없음
- 반대로,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물은 대부분 공짜이다
- 이러한 현상에 의문을 갖은 사람이 애덤 스미스이며, '스미스의 역설'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해 진 이 의문을 결국 풀지 못 함
- 하지만, 스미스 이후 1세기가 지난 후, 한계효용학파의 이론에 의해 설명이 됨
- 한계효용학파는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계효용이며 한 상품의 한계효용은 그 상품의 소비량에 반비례한다고 말함
- '물은 필수재지만, 사람드른 물을 충분히 소비하고 있기에 물 한컵의 한계효용은 다이아몬드의 한계효용보다 낮다'
물의 경제학
- 그렇다면 물도비싼 가격으로 팔 수는 없으까?(한계효용을 높이면 된다)
- 대표적인 사례로 에비앙이 존재
- 1789년 신장결석을 앓고 있던 레세르 후작이 긴 투병생활 중 에비앙 마을을 산책하며 어느 집 화원에서 나오는 광천수를 꾸준히 마신덕에 신장결석이 완치 됐으며, 나폴레옹 3세와 황후도 에비앙 물에 홀딱반해 마을의 이름을 '에비앙'이라 하사하였으며, 1978년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는 에비앙 생수의 뛰어난 치료효과를 인정
- 얼마 지나지 않아, 미용에도 탁월한 효과가 알려지고 이때부터 에비앙 생수는 천연 광천수 중에서도 '귀족'이라 불림
- 이를 통해 에비앙 가격은 다른 생수대비 더 비싸게 팔리고 있음
* 편익
자신이 지불한 비용으로 얻게 되는 만족감을 금전화한 개념. 편익은 자신이 지불한 비용으로 얻게 되는 만족감을 금전화한 개념을 말한다.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해도 개인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만족감은 다를 수 있다.
반응형
'경제-사회 일기 > 경제-사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큐의 경제학(4)_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0) | 2021.03.03 |
---|---|
맨큐의 경제학(2)_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0) | 2021.02.18 |
맨큐의 경제학(1)_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