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 :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상품의 가격을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등을 고려,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
- 물가지수 :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해서 지수의 형태로 나타낸 것
- 물가의 결정요인 :
1) 국민경제의 총수요와 총공급
- 총수요 증가 또는 총공급 감소 -> 물가 상승 압력, 총수요 감소
- 총수요 감소 공급 증가 -> 물가 하락압력
- 총수요에 영향을 주는 원인 : 통화량과 가계소득
- 총공급에 영향을 주는 원인 : 임금 및 국제원자재 가격 등
- 총수요와 총공급에 영향을 주는 원인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 통화량 증가 -> 상품 수요 증가, 이자율 하락 -> 물가상승
2) 가계소득
- 소득의 증가 -> 상품 및 서비스 수요 증가 -> 물가상승
- 소득의 감소 -> 상품 및 서비스 수요 감소 -> 물가하락
- 희생비율 : 1%의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내해야 하는 실질 GDP의 감소비율
3) 기대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증가한다고 예상
- 가게소비 증가, 부동산 등 실물자산 구입 -> 총수요증가
- 실질금리 감소 -> 투자의 증가 -> 총수요증가
- 생산요소가격 상승 예상 -> 총공급감소
- 각 국의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된 수준 유지
4) 임금
- 임금은 기업의 제조원가의 주요 항목
- 임금이 상승하더라도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면? -> 물가상승압력 완화
- 임금이 노동생산성에비해 사파르게 상승한다면? -> 물가상승압력 증가
5) 국제원자재가격
-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
- 1973~1974, 1978~1980 석유파동
- 2007~08 국재원자재가격 급등
6) 환율
- 수입품의 가격변동을 통하여 물가에 영향을 준다
- 원하가치하락 -> 환율 상승 -> 국내물가상승
- 원하가치상승 -> 환율 하락 -> 국내물가하락
7) 유통구조나 경쟁
- 유통단계가 복잡할수록 마진에의한 물가 상승
- 독과점 구조일경우 물가상승압력
- 아마존효과 -> 물가안정
8) 기타요인
- 대외개방의 확대
- 세금
-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 통계청, 가계가 소비하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수준 측정
- 생산자 물가지수(Product Price Index)
-> 한국은행, 국내 생산자가 국내시장에 출하하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수준측정
- 수출입 물가지수
-> 한국은행, 수출 및 수입 상품의 가격수준 측정
-> 실질 국민총생산 산출시 사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