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급준비금1 지급준비금과 초과지급준비금 1) 지급준비금과 지급준비금계정 가계나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은 상업은행은 각 나라의 은행법에 따라 받은 돈의 일정 비율(지급준비율)만큼을 현금으로 보유해야 하며, 이것은 과거 은행의 파산(뱅크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예금자보호 차원에서 생겨난 것으로 우리나라의 지급준비율은 7%이다. 예를 들어, 고객이 100만원을 예금했다면, 7만원은 지급준비금으로 놔두고 나머지 193만원을 투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상업은행이 실제 7만원을 갖고 있다고 보장할 수 있을까? 그래서 중앙은행은 지급준비 계정을 만들어 상업은행에게 지급준비금을 받아 관리를 하며, 상업은행에게 계정에 이율을 적용하여 은행에게 예치 이율을 제공한다. 이는 이율을 조정하여 시장의 유동성을 조율하기 위함이다. - (?) 이게 무슨.. 2020. 5. 17. 이전 1 다음 반응형